출처 : gmlwjd9405.github.io/2018/10/27/webserver-vs-was.html
[Web] Web Server와 WAS의 차이와 웹 서비스 구조 - Heee's Development Blog
Step by step goes a long way.
gmlwjd9405.github.io
1. 역할
Web Server : 정적인 콘텐츠 제공
WAS : JSP, Servlet과 같은 동적인 컨텐츠 제공
2. 구조
Client - Web Server - WAS - DB
3. 이유
동적인 컨텐츠 필요하지 않은경우
Web Server에서 WAS까지 요청하지 않고 끝내서 부하를 줄인다.
4. 대용량 트래픽
L4 스위치를 이용해 여러대의 WAS로 분산 처리한다.
> L4스위치의 가상 IP를 클라이언트가 실제로 접속하는 IP로 설정한다.
사용자 접속 시 L4스위치에 연결된 WAS의 IP로 연결해 처리한다.
(L4의 알고리즘 사용 예를 들어 홀수번째는 1번 WAS, 짝수번째는 2번 WAS로 연결)
안정성도 올라간다. 한대가 Down 될 경우 다른 WAS가 살아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.
DB 또한 예비 DB를 통해 부하가 많을 경우 분산 처리한다.
출처 : xinet.kr/?p=69
L4 로드밸런싱 설정 및 운용
한마디로 말하면,L4의 핵심은 'IP, 포트, 세션' 을 기반으로한 로드 밸런싱(Load Balancing)이다!라고 말하고 싶네요. L4에서 가장 중요한건 역시 4계층답게 포트(port)라는 생각이 드네요.2계층의 MAC3계
xinet.kr
댓글